개발 노트

Javascript // 1일차[변수,연산자,if문 for문] 본문

Javascript

Javascript // 1일차[변수,연산자,if문 for문]

Meter216 2022. 10. 28. 15:56

목차

1. Javascript 란 ?

2. 변수, 변수값

3. 연산자

    - 기본 연산자

    - 비교 연산자

4. IF문 (조건문)

5. FOR문 (반복문)


 

1. Javascript 란 무엇인가?

 

**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같이 할 수 있는 유일한 언어 ** 

 

http와 css에서 구현하기 힘들었던 동적 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는 언어

node - javascript 내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는 프로그램

브라우저와 node의 엔진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문법을 쓰면 동작을 하지 않을 수 있다.

 

js는 타입 지정이 없기 때문에 초보자들도 익숙해지는데 어려움이 없다.

256 = 1byte = 9 bit 00000000
257 = 2byte가 필요. 이런 과정이 타입 지정.

 

http와 연결은

<script src="" type="text/javascript> </script>

 \* head body 어디에 있던 상관없음.


 

2. 변수, 변수값

 

예약어

 

var       = 옛날부터 사용하던 언어,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선언이다. 2015년 이후 잘 쓰지 않는다. 에러가 많고 해석하기가 어렵다. 잠

let        = 많이 사용하는 언어. 적힌 대로 실행이 가능하기에 직관적으로 알기 쉽다. 재할당이 가능하고 재선언은 불가능하다.

*const = 상수, 한 번 입력을 할 때 값을 입력해야 함. 선언과 동시에 할당해야 한다. 재선언 재할당 불가능하다. 기본: const num = 1

 

 

기본 형식

 

예약어 [let, const] 변수명 [아무글자 **특수문자, 첫글자숫자 , 예약어 안됨] = [데이터]  ** 데이터 타입 "글자" 숫자

var = num
num = 1
console.log(num)

콘솔엔 1이 표시가 된다.

코드는 기본적으로 맨 위부터 한 줄 한 줄 실행이 되며,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실행이 된다.

 

* 재할당

let num
num = 1
console.log(num)

num = 10
console.log(num)

위 코드는 1이 표시되지만 아래 코드는 1이 표시되었다가 10으로 바뀐다.

 

변수 약속

 

두 단어가 연결되었을 때 구분을 위해 

var firstName // 카멜표기법 ** 많이 쓴다
var FirstName // 파스칼
var first_name // 스네이크


3. 연산자

- 기본 연산자

 

기본적으로 양 옆에 값이 있어야 연산이 가능하다.

+  더하기  데이터 타입이  "글자" + "글자"글자글자  // 숫자 + 숫자 = 숫자합  // *JS에선 "글자" + 숫자도 값이 나온다

-   빼기      

*   곱하기

/   나누기

% 나누고 나머지 값 구하기.

 

단항 산술 연산자 

++   = 데이터 값 + 1 을 시키는 값.

ex)

let num2 = 4

console.log(--num2) // 3  -1 호출 메모리저장
console.log(num2++) // 3  호출 +1 메모리저장
console.log(num2--) // 4  호출 -1 메모리저장
console.log(++num2) // 4  +1 호출 메모리저장
console.log(num2) // 4

왼쪽부터 값이 실행되기 때문에 이런 값이 나오게 된다.

num3 = num3 + 3

num3 += 3

num3++
num3++
num3++

셋 다 같은 값이 나온다

 

- 비교 연산자

 

대입연산자는 대입 기준 오른쪽부터 실행해서 왼쪽으로 간다.

== 같다는 표시 *JS는 관대하기 때문에 숫자(number) 문자(string) 을 봐주기 때문에 반드시 === 3개를 붙이도록 하자.

=== 3개를 쓴다면 값만 비교하는 것뿐 아니라 데이터 타입까지 비교하기 때문에 

!= 반대의 표시로 같지 않다는 표시다. 마찬가지로 !== 로 3개를 써주기로 하자.

ex

1 == 1 1과 1은 같은가 ? true
1 != 1 1과 1은 다른가 ?  false
1 == true     true
0 == false    true
1 !=   true    false
0 != false      false

true = 1 false = 0

 

대소 관계 

 

ex

1 > 2    false
1 < 2    true
1 >= 2  false
1 <= 2  true
2 >= 2  true
2 <= 2  true

 

4. 조건문 (IF)
IF(){
} else {
}

if(){
} else if () {
    else
}

 ** 기본 형태, 손에 익숙해질 때까지 연습해보기.

if (사이에 조건) {

출력되는 값이 들어있다.

}

조건값에는 boolean 값이 들어가야 한다. boolean = true / false 값으로


5. 반복문 (FOR)

 

for (){
}

for 문으로 (초기값;, 종료조건;, 증감값;)

 

ex

for (let i =1; i <= 10; i++){
    console.log(i)
    console.log("hello world")
}

1

hello world

2

hello world 가 10까지 반복된다.

 

 

조건문 () 에 ; 세미클론을 반드시 찍어야 한다. 또한 {} 안에 if문을 넣어 if 조건문을 가진 반복문을 만들 수 있다.

코드 진행 방

1. i를 할당하고 1을 집어넣는다.
2. i와 100을 비교해서 true false 값을 비교한다 / true 면 3번 실행 false면 그만
3. 값을 실행 이후 1.번으로 도망감 ;클론 안들어가야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