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||||||
| 2 | 3 | 4 | 5 | 6 | 7 | 8 |
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 29 |
| 30 |
- JS DOM
- React 자습서
- branck 합치기
- Object.keys
- Linux 기본
- js로또 만들기
- js 무한루프 슬라이드
- nodejs 게시판
- Linux 사용자
- js 함수 표현식
- 화살표함수
- 배열 메서드
- Git
- css #css기초
- GitHub
- React 기본설정
- js 게시판
- js DOM 기초
- js 메서드
- node js 기본
- js 로또
- node js 설치
- js 생성자 함수
- 콜백함수
- js 댓글수정
- Rebase
- js 댓글
- 3way handshake
- js 함수 #함수
- typescript
- Today
- Total
개발 노트
javascript// 2일차 [변수,연산자,형변환,코드블럭,데이터타입] 본문
목차
1. 변수
2. 연산자
- 산술연산자
- 당항 산술 연산자
- 논리 연산자
- 비교 연산자
3. 형변환
4. 코드블럭
5. 데이터 타입
- 객체타입
- 배열 , 객체
1. 변수
예약어
var = 현재 배우지 않는 예약어!
let = 재할당 가능 재선언 불가능
const = 재할당, 재선언 불가능
**재선언
let arr = 3
let arr = 1
console.log(arr)
**Uncaught SyntaxError: Identifier 'arr' has already been declared
** 오류메세지 ( 이미 선언된 arr 언어)
**재할당
const arr = 1
arr = 3
console.log(arr)
**Uncaught TypeError: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. at
** 오류메세지 ( ?? )
2. 연산자
| 산술 연산자 | 단항 산술 연산자 | 논리 연산자 | 비교 연산자 |
| + | ++ | || | > |
| - | -- | && | < |
| * | *= | >= | |
| / | /= | =< | |
| % | == | ||
| === | |||
| != | |||
| !== |
**비교 연산자
= 이후 오른쪽부터 코드 실행,
JS에선 ==만쓰면 str 과 num를 구분하지 않고 +(-는 상관없음) 를 시켜주기 때문에 항상 ===를 쓰는것을 습관화.
논리연산자
|| = or의 의미로 둘 중 하나라도 참이면 ture
&& = and의 의미로 둘 다 참이여야 true
기본적으로 값이 2개씩 필요
3. 형변환
컴퓨터에선 글자를 쓰던 숫자를 쓰던 모든 것을 글자로 인식한다. 따라서 글자를 숫자로 타입변환을 시켜주어야 한다.
숫자로 변환시키는 명령어
Number()
parseInt()
**JS는 자비가 없기 때문에 대문자를 꼭 기억해야한다.
4. 코드블럭
괄호 안에 예약자를 넣어 괄호 밖에 있는 예약자엔 영향을 끼치지 않게 할 수 있다.
{
let a = 0
}
console.log(a)
이런식으로 쓰게 된다면 콘솔창에선 a의 값을 찾지 못했다며 오류가 뜬다.
중괄호 안에서 선언된 코드는 중괄호 안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= 지역변수 라고 불리며 1회성 변수이다.
코드블럭 밖에서 사용된 변수 = 전역변수
let a
{
a = 0
}
console.log(a)
블럭 밖에서 선언된 a가 중괄호 안에 변수가 할당됐어도 중괄호 밖에서의 console에 출력이 가능하다.
5. 데이터 타입
- 원시타입
string = 문자
number = 숫자
boolean = true, false 값
undefined = 값이 지정되지 않았을 때 뜨는 것
null = 값이 없을 때 인위적으로 넣는 값, undefined 와 헷갈리지 않게 값을 넣어놓는다.
sumbol
- 객체타입
배열 하나의 변수에 여러 데이터를 넣고 싶은 경우 사용 (같은 성형을 가진 변수들을 모아두면 편하기 때문에)
let a = [1, 2, 3, 4, 5, 6, 7, 8]
0 1 2 3 4 5 6 7
값은 1 2 3 4 5 6 7 8 이지만 번호는 0 1 2 3 4 5 6 7 순으로 매겨진다.
선택하기
console.log(a[3]) 4
console.log(a[5]) 6
console.log(a[6]+a[7]) 15
console.log(a.length)
첫번째 항은 3번째 요소인 숫자 4가 선택.
두번째 항은 5번째 요소인 숫자 6이 선택.
세번째 항은 6번째 요소와 7번째 요소를 합친 값 15가 나온다.
네번째 항은 a의 요소의 총합인 8이 나온다.
연습하기
let a = input("첫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")
let b = input("두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")
a = Number(a) // a = parseInt(a)
b = Number(b) // b = parseInt(b)
if (a > b) {
console.log(A가 큽니다.)
} else if (a < b) {
console.log(B가 큽니다.)
} else {
console.log(같습니다)
}
input"첫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" 를 할당받은 a와
input"두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" 를 할당받은 b
a와 b의 데이터 타입이 글자형식이기 때문에
재 할당을 통해 숫자로 바꿔줌 = Number 사용 (parseInt 도 가능) **대문자 주의
if a값이 b값보다 클 경우 true 값 a가 큽니다. 실행
a가 b보다 작을경우 false > 다음 코드 b가 큽니다. 실행
a가 b와 같을경우 false > 다음 코드 같습니다 실행.
for (let i = 0; i < 5; i++){
console.log('menu' + i)
for (let j = 0; j < 5; j++) {
console.log(" submenu" + i + " - " + j)
}
}
for 반복문
i = 0 부터 시작 i가 5보다 작기 때문에 true 값 코드 실행 menu + i 출력
> 안에있는 반복문 j = 0 시작 j는 5보다 작기 때문에 submenu + i + - + j 실행 이후 j++ 실행
> j = 1이 된 상태에서 다시 for j부문 반복 > j 가 5가되서 false 가 뜨면 i++ 실행 > 이후 반복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Javascript// 6일차 [상속, 날짜, 삼항연산자] (0) | 2022.11.04 |
|---|---|
| Javascript// 5일차 [메서드, 생성자 함수] (0) | 2022.11.03 |
| Javascript // 4일차 [함수표현식, 콜백, 화살표함수, 객체] (0) | 2022.11.02 |
| Javascript // 3일차 [함수] (0) | 2022.11.02 |
| Javascript // 1일차[변수,연산자,if문 for문] (0) | 2022.10.28 |